백엔드 면접 질문
백엔드 면접 질문
-
OSI 7계층
-
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
-
-
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?
- 실제 세계의 사물들을 객체로 모델링하여 개발을 진행하는 프로그래밍 기법
-
MVC 패턴이란?
-
아키텍처를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패턴입니다.
- Model: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포넌트
- View: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
- Controller: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Model과 View를 중개하는 컴포넌트
-
-
Restful API란?
-
HTTP 통신에서 어떤 차원에 대한 CRUD 요청을 Resource와 Method로 표현하여 특정한 형태로 전달하는 방식
- Resource(자원, URI)
- Method(요청 방식, Get, Post)
- Representation of Resource(자원의 형태, Json, XML 등)
-
-
JavaScript의 변수 선언
-
Hoisting - 자바 스크립트 코드는 함수 안에 있는 모든 변수를 맨 꼭대기에 올린 것 처럼 동작한다.
-
var let const 중복 선언 가능 불가능 불가능 값의 재할당 가능 가능 불가능 스코프 함수 내부 블록 내부 블록 내부
-
-
MSA란?
- 1개의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배포가능한 각각의 서비스로 분할합니다. 각각의 서비스는 Restful API 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1개의 큰 서비스를 구성합니다.
-
JavaScript의 변수 Type
- 숫자 (Number) : 64비트 부동 소수점 형식, 실수로 처리
- 문자열 (String)
- boolean: true, false
- undefined: 값이 할당 되지 않았을때
- null: 의도적으로 값이 없음을 명시하기 위해 할당하는 값
- Object: 데이터와 그 데이터와 관련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개념, 각 value에 이름을 줄 수 있음
- Array: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
-
GET과 POST의 차이
- GET은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헤더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, 데이터가 노출되기 때문에 보안적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포함하면 안된다.
- POST는 데이터를 추가 또는 수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바디에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
-
TCP / UDP 차이
- TCP는 연결형 서비스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지만 속도가 비교적 느리다
- UDP는 비연결형 서비스로 신뢰성이 떨어지지만 속도가 빠르다
-
HTTP 프로토콜이란?
- 서버/ 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
-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는 Stateless 프로토콜이며 Method, Path, Version, Headers, Body 등으로 구성됩니다.
-
HTTP와 HTTPS의 차이점
-
HTTP는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HTTP로 보안이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으면 제 3자에 의해 조회될 수 있습니다.
-
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에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이 HTTPS입니다.
-
HTTPS는 자신의 공개키를 갖는 인증서를 발급하여 보내는 메세지를 공개키로 암호화하도록 하고 있습니다.
-
https 를 적용해본 적 있는가
- 로드밸런서를 이용해 ssl 인증서를 사용하여 적용해보았다.
-
-
콜백 함수와 Promise란?
-
콜백 함수
- 특정 로직이 끝났을 때 원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.
- 비동기 로직의 결과값을 처리하기 위해서 callback 안에서만 처리 해야하고 콜백 밖에서 비동기에서 온 값을 알 수 없다.
-
Promise
-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입니다.
- 주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.
- 비동기에서 사용하면 비동기에서 온 값이 promise 객체에 저장되기 때문에 코드 작성이 용이해집니다.
-
-
Query, Params, Body 의 차이
- Query: 주소 바깥 ? 이후의 변수를 담는다.
- Param: 주소에 포함된 변수를 담는다.
- ReqBody: JSON 등의 데이터를 담는다.
-
URI와 Domain의 차이
- URL: 해당 서버의 주소 + 하위 디렉토리까지 포함하는 읨
- Domain: 해당 서버의 주소
-
동기와 비동기식 처리의 차이점
-
동기 방식
- 요청을 보내고 실행이 끝나면 다음 동작을 처리하는 방식
-
비동기식 방식
-
요청을 보내고 해당 동작의 처리 여부와 상관없이 다음 요청이 동작하는 방식
-
Ajax
- 화면에 표시할 이미지와 데이터를 서버에서 불러와 표시해야하는 경우 ajax 통신으로 해당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가져옵니다.
-
setTimeout()
- 코드를 바로 실행하지 않고 지정한 시간 만큼 기다렸다가 로직을 실행합니다.
-
-
-
Port number 를 사용하는 이유
- 컴퓨터 내에 사용 중인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 중 누구에게 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는 지 구분하기 위해
-
session과 cookie의 차이점
- 쿠키: 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 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
-
session: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서버 측에서 관리
- 쿠키를 기반
- 쿠키와 세션이 사용되는 곳
- 세션: 로그인 등 보안 유지가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때
- 쿠키: 언어 설정 등 보안 유지가 필요 없는 정보를 저장할 때
-
Git과 Github란?
- Git
- 컴퓨터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
- Github
- 분산 버전 관리 툴인 깃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호스팅 서비스
- Git
Leave a comment